목차
몽탄 신도시 뜻
몽탄 신도시는 몽골+동탄 신도시라는 뜻으로 몽골 울란바토르에 있는 신도시가 한국의 대형마트인 이마트를 포함하여 CU, GS25, 롯데리아, 탐앤탐스, 찜질방 등을 입점시키고 한국식 신도시 고층 아파트 구조를 갖춘 점이 우리나라 동탄 신도시와 닮았다는 데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몽탄 신도시 탄생 배경
그런데 뜬금없이 옆나라인 중국, 일본도 아니고 우리나라와 친화적인 미국도 아닌 몽골에 한국식 신도시와 한국 기업들이 입점한 이유가 궁금할 것입니다. 몽골 울란바토르에 몽탄 신도시가 탄생하게 된 배경을 알기 위해서는 몽골의 현 상황에 대해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과 부족한 인프라
몽골은 초고령사회로 들어선 우리나라와 달리 인구의 절반 이상이 35세 이하인 상당히 젊은 국가입니다. 다만 몽골의 GDP를 보면 몽골을 경제적 선진국이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 또한 젊은 사람들이 누려야 할 인프라가 부족했습니다. 특히 젊은 사람들, 특히 어린 자녀를 가진 신혼부부는 넒은 아파트와 가까운 학교, 아이들이 먹고 놀 수있는 상권, 학원가 등이 많이 필요한데 울란바토르는 그러한 인프라를 가지지 못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몽골의 정부는 외국자본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며 경제성장과 인프라확보를 위해 외국 기업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했습니다. 1994년부터 시작된 몽골의 개방정책으로 우리나라의 대기업들이 몽골로 진출하기 시작했으며 2011년 한국-몽골 정상회담을 통해 아파트 건설 협약을 맺으며 본격적인 한국 대기업의 몽골 진출이 시작되었습니다.
대기업들이 몽골로 진출하는 이유는 당연히 경제적인 이득이 되기 때문입니다. 몽골은 2019년까지만 해도 매출액 30억 투그릭(몽골 화폐단위로 한국 원화 기준 약 11억원)가 넘는 기업들에는 10%의 법인세를 부과하고 외국 출자 비율이 50%가 넘는 기업은 국회의 승인이 필요할정도로 규제를 많이 하던 나라였습니다. 하지만 2020년부터 규제를 완화하며 법인세 부과 기준이 기존의 2배인 60억 투그릭(한국 원화 기준 약 22억원)으로 늘리고 국회의 승인과 같은 법도 개정하며 적극적으로 외국 기업의 진출을 돕고 있습니다. 그 결과 법인세 부담이 적은 몽골은 대기업들에게는 천국이 되었고 최근에는 테슬라의 공장 유치에 관련된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코리아타운과 몽탄신도시의 차이점
몽탄신도시는 한국 기업들이 많이 진출했고 동탄과 비슷한 모습을 보여 한국사람들에게 정말 익숙한 풍경을 보여주는 도시이지만 코리아 타운은 아닙니다. 코리아 타운이란 해외에서 한국사람들이 모여살면서 한국식 식당, 한국마트 등의 인프라가 모여있는 동네를 말하는데 울란바토르는 한국 사람들이 모여사는 지역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한국인들이 여행을 갈 때는 보통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를 거쳐서 다른 지역을 여행하기 때문에 한국 사람들이 해외에서 한국의 풍경을 볼 수 있는 신기한 장소로서 관광지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신조어, 유행어 뜻'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위터 '만두 사줄게' 뜻, 의미, 유래(트위터 만두) (0) | 2023.09.07 |
---|---|
안타깝다 뜻과 유래, 조선시대 '안탁갑'씨와 세종대왕의 이야기 (0) | 2023.08.29 |
초등학생, 중학생들 사이에 유행하는 엘사 뜻, 휴거 뜻 (0) | 2023.06.16 |
잼못타, 급못타 대체 무슨말일까? 잼못타 뜻 급못타 뜻 (0) | 2023.04.08 |
김광현 인스타 입장표명 / 국대가표란? / 김광현 국대가표 / 국대가표 뜻 (1) | 2023.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