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야구 스위퍼 구종의 원리(Seam-Shifted Wake: SSW와 논마그누스효과)

by yozmi 2023. 4. 6.

목차

    반응형

    야구 스위퍼 구종 원리

    몇 년 전까지 너클이나 너클커브에 대한 유행이 있었다면 최근 MLB와 KBO에서 유행하는 구종 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스위퍼"라고 하는 스위핑 슬라이더입니다. 야구에서 가장 위력적인 변화구 중 하나인 스위퍼는 '실밥에 의한 경로변경(영어로는 Seam-Shifted Wake,SSW)'에 의해 발생합니다. 

     



    먼저 클레이 홈스가 던진 스위퍼를 보겠습니다.

    클레이 홈스의 스위퍼



    영상에서 볼 수 있듯이 공은 홈플레이트를 가로질러 빗자루로 쓸듯이(Sweep:(빗자루로) 쓸다)움직이며 왜 이 변화구를 스위퍼라고 부르는 지 알 수 있습니다. 스위퍼의 움직임은 기존 슬라이더보다 훨씬 낫습니다. 유일한 단점은 속도입니다. 스위퍼는 2021년에 기존 슬라이더보다 평균 약 5km/h 정도 더 느리게 움직입니다. 하지만 슬라이더의 포인트는 속도가 아닙니다. 작년 데이터에 따르면 스위퍼는 일반적인 슬라이더보다 125RPM 더 회전합니다. 이 빠르고 많은 회전으로 인해 일반 슬라이더는 수평으로 7인치만큼 움직이는 반면 스위퍼는 15인치(대략 114%더 많이)정도의 수평움직임을 보여줍니다.



    이 엄청난 변화구를 던질 수 있는 원리는 앞서 말한 것처럼 '실밥에 의한 경로변경(Seam-Shifted Wake)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공을 던질 때 마그누스 효과(유체 속에 잠긴 채 회전하며 운동하는 물체에서, 이 물체와 유체 사이에 상대속도가 존재할 때 그 물체의 속도에 수직인 방향으로 물체에 힘이 발생하는 현상)의 영향을 받아 투수의 손에서 홈플레이트까지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하며 움직입니다. 하지만 스위퍼를 포함하여 SSM, 즉 실밥에 의한 경로변경이 이루어지는 변화구들은 마그누스효과를 받지 않습니다. 대신 이러한 변화구들은 논마그누스 상태를 유지합니다. 논마그누스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투구에서 나오지 않은 방식으로 자유로운 움직임, 즉 곡선의 움직이 생깁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공이 저절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Seam-Shifted Wake(SSW)의 영향을 받아 공기를 밀어내며 움직이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다저스 투수 앤드류 히니의 공을 보겠습니다.

     



    영상을 보면 공이 직선으로 가는 것처럼 보이다가 갑자기 오른쪽으로 엄청난 수평이동을 합니다. 타자는 직구의 궤적을 예측해서 스윙하지만 공은 타자가 예상한 곳에 없습니다. 공이 반대 방향으로 갔기 때문에 당연히 타자는 헛스윙을 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투구에서는 공 주변의 공기가 매끄럽게 흐르며 앞서 언급한 마그누스 효과를 받습니다. 그러나 실밥이 규칙적인 공기 흐름을 방해하도록 공을 바로 던지면 어떻게 될까요? 간단히 말해서, 공기압이 실밥의 주위에 고착될 때, 그 압력이 깨지면 기류가 갑자기 공의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갑작스러운 공기압과 기류의 변화는 야구공을 반대 방향으로 수평으로 밀어내어 일반적인 마그누스 효과를 받는 투구와 다른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MLB의 야구분석 사이트 Driveline Sports에서는 논마그누스 효과로 인한 공의 움직임 차이를 분석했습니다. Stuff+(평균으로 100을 사용하여 주어진 피치의 속도, 브레이크, 각도 및 확장 값을 고려함)라는 통계 버전을 사용하여 평균적인 슬라이더가 논마그누스 효과로 인해 추가로 피칭점수 7.6점을 갖는다고 계산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데이터는 몇 년 전부터 공개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Driveline Sports에서 분석한 데이터는 아직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데이터의 분석과 스위퍼의 등장이 아직 몇년 되지 않았기 때문에 스위퍼의 구종가치는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일본의 대표적인 투수인 오타니와 다르빗슈를 포함해서 MLB와 NPB에 유행처럼 퍼진 스위퍼가 요즘 KBO에서도 등장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NC다이노스의 송명기 선수가 스위퍼를 구사합니다. 아직 우리나라의 야구 분석 사이트에서는 송명기 선수의 스위퍼를 슬라이더로 구분하고 있긴 하지만 공의 움직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송명기의 슬라이더를 스위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관련글

     

     

    2023년 메이저리그에서 유행을 시작한 구종 스위퍼란? (슬라이더와의 차이점)

    2023년 야구를 보다보면 새로운 단어를 듣게 될 수도 있습니다. 바로 "스위퍼"라는 단어인데 스위퍼는 MLB에서 유행하고있는 최신 변화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오타니를 비롯한 유명 투수들

    yozmaedl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