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스토리보드 작가가 하는 일
1. 일반영상과 특수영상
영화의 제작은 많은 구분기준이 있겠으나 기본적 유형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별다른 촬영 상에 기법이 부여되지 않은 일반적인 영상형식
- 여러 가지 트릭이나 각별한 기법을 구사하여 현실적으로 존재 할 수 없는 영상을 창출해 내는 형식
이 중에서 두 번째의 경우 특수 효과를 위해서는 스토리보드제작이 필수적입니다.
2. 문자위주 콘티에서 그림위주 콘티로 변환
초기에 문자에 의한 영화 대본(시나리오)의 제작 방식은 전적으로 문자와 몇 몇 개의 기호와 약간의 스케치에 의해 작업 진행되었고, 좀 더 시간이 감에 따라 일부 감독들에 의해 문자에 의한 비중보다는 비주얼적인 효과를 많이 살린 그림콘티 형식의 시나리오를 취했습니다.
다음은 시나리오에 약간의 비쥬얼 설계를 곁들인 형식의 스토리보드입니다.
다음은 시나리오에 메모를 한 형식의 스토리보드입니다.
스토리보드의 유형
스토리보드 유형은 크게TV나 ,VIDEO용, 광고용, 극장용(디즈니 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TV, VIDEO용
오늘날에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매체입니다. 대개의 경우 저 예산과, 짧은 제작기간에 여유가 많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일들이 매우 급박하게 진행되는 수가 많습니다. 스토리 보드 제작 과정도 면에서 충분히 시간을 들여서 작업하기가 곤란하므로 감독이 직접 그리거나, 아니면 대부분 경험이 많은 숙달된 스토리 보드 아티스트를 고용해 짧은 시간 내에 중간 테스트 별도 없이 시나리오를 보고 한 번에 작업을 끝내야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광고용
주로 극장이나 TV 광고용 커머셜(commercial film)제작에 쓰이는 스토리 보드로서 30초, 20초, 15초의 세가지 유형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것은 주로 전체적인 순서나 분위기를 암시하는 정도로 제작되는 경우도 있고 세밀하게 촬영순서 그대로 작성되는 수도 있습니다.
3) 극장용 (디즈니 식)
미국의 최대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월트-디즈니사의 스토리 보드 전개 및 진행 방식은 대단히 효과적입니다. 다음 사진은 스토리 보드 회의광경입니다.
스토리보드의 기능
<커뮤니케이션 측면>
- 클라이언트와 회사에 있어 보다 정확한 의견교환과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할 수 있습니다. 러프 스케치 일 경우 빠른 속도로 대략 그려지는 이유로 보는 이의 경험이나 선입관, 입장 등에 따라 그 해석이 구구 각색입니다. 하지만 스토리 보드는 세밀하고 구체적이면서 전체 분위기나 색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보다 정확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집니다. 서로의 생각을 확실하게 검증하고 합의를 하기 위해서라도 스토리 보드라는 매개물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표현할 필요가 있습니다.
<검증을 위한 측면>
- 스토리 보드를 제작하는 것은 단순하게 클라이언트와 다듬어지지 않은 러프스케치를 정리, 책색하여 시각화시키는 차원을 넘어 지면을 통한 도상연습을 통한 검증단계로서의 필요성입니다. 즉 인력, 시간, 제작비의 대략적인 가늠산정을 가능케 하여 효율적인 제작에 필수적이며, 실제 필름이나 테잎으로 완성되었을 시 어떤 톤과 매너를 갖춘 영상이 될까를 가시화 시켜 놓을 수 있는 것입니다.
<스토리보드의 기능>
-스토리를 구성하는 작업(작품의 스토리와 이미지 전개 방식을 알려주고 작품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기능)
-스토리 보드는 시나리오에 나타난 모든 내용을 시각적으로 정리, 작가의 의도를 구체적으로 이미지 드로잉과 함께 제공된다
-scene의 길이, 장소와 시간, 상황설명, 캐릭터의 연기 내용과 움직임, 사운드, 효과음, 장면 전환 기법, 촬영 방법 등을 자세히 기록해야 한다.
-특히 작가의 의도가 철저히 점검되는 스토리 보드는 작품의 수준과 완성도 있는 결과를 위해 필수 요건이다.
-좋은 작품의 제작을 위해서는 시나리오와 함께 스토리 보드의 세심한 작업과 검토는 매우 중요하다.
<스토리보드의 구성 >
-스토리 보드는 거칠게 스케치해 놓은 그림이지만 작품의 시작점이 되고 이를 기초로 완성된다.
구성 요소는
1. 그림, 대사, 효과, 음악, 카메라 작업 지시(Fi, Fo, Tu, Tb, Dis), 컷, 시간 분량이 표시된다.
2. 과거에서 현재로, 먼 곳에 있는 캐릭터와 정신적 결합이 필요할 때(WIP), 장소의 이동변화(FI,FO)가 표시된다.
3. Opening-작품 전체의 내용을 상징해야하며, 내용 전개는 모노드라마처럼 나열식이 아닌 움직임으로 이야기하듯 구성 되야 한다.
4. 내용도 중요하지만 시선을 끌게 하는 요소가 중요하다
(그림, 대사, 음악, 효과)-보는 이의 흥미를 돋구고 마음을 끄는 매력적인 요소가 필요하다.
5. 이야기 내용과 마찬가지로 속도감도 중요하다
오늘날의 스토리보드
스토리보드는 애니메이션 분야에서는 그림콘티(animation conty)혹은 스토리 보드(story board)라는 이름으로 정착한다. 그러나 특히 스토리 보드라는 명칭을 더 많이 사용하며 일본에서는 그림콘티라는 용어를 더 즐겨 사용한다. 광고분야에서도 스토리 보드의 운용은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 분야에서는 더 말 할 것도 없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세계 유니버스 스타벅스 BOGO 쿠폰 등록하는 법 (0) | 2023.05.09 |
---|---|
6월 7일부터 바뀌는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구 스마일클럽) 바뀐 혜택 총 정리 (0) | 2023.05.08 |
현대 전기차 '디올뉴 코나 일렉트릭' 출시 예정일과 가격 배터리 용량 연비 신차 구매 혜택 총 정리 (0) | 2023.04.13 |
유튜브 프리미엄 사용자에게만 향상된 1080P 제공 예정 (0) | 2023.04.12 |
2023 한강 달빛 야시장 개장 일정, 시간과 휴장일 및 주의사항 정리(구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 (0) | 2023.04.12 |
댓글